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IMG_2233.png

 

 

일본 도쿄 시부야에 지난 4월 개업한 한 음식점이 외국인 관광객에게 일본 거주자보다 비싼 가격으로 음식을 판매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 저녁 시간대에 제공되는 해산물 및 음료 뷔페 코스의 가격은 일본인과 재일 외국인에게는 5980엔(약 호주 57불 40센트)이지만,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1000엔 더 비싼 6980엔(약 호주 67불)으로 책정되어 있다. 음식점 관계자는 "관광객에 대한 접객 비용을 고려하면 가격을 높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이중가격 사례는 1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을 통해 보도되었으며, 일본 내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 같은 물건을 외국인에게 비싸게 판매하는 것은 차별 논란을 야기할 수 있지만, 닛케이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소비자가 받아들이기 나름"이라고 전했다. 이는 역대급 엔저 현상에 따른 일본 거주자와 외국인 관광객 간의 구매력 차이를 반영한 불가피한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닛케이와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일본은 외국인들에게 '싸게 물건을 살 수 있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고급 브랜드 판매점이 많은 도쿄 긴자에는 외국인들이 몰려 일부 매장에서는 입장을 기다리는 긴 줄이 형성되기도 한다. 한 명품점 관계자는 아사히에 "유럽에서 온 손님이 자국 브랜드를 사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폰의 경우에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15 모델의 경우 발매 당시의 환율로 계산하면 38개 국가 중 일본은 중국 다음으로 가장 저렴하다. 다른 국가의 평균 가격은 15만3518엔(약 호주 1,473불)인 반면, 일본에서는 약 3만엔(약 호주 288불) 정도 더 싸다. 이에 따라 일본 애플 직영점에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을 수밖에 없다.

 

역대급 엔저는 외국인에게 일본을 '싼 나라'로 인식하게 하지만, 일본 거주자들에게는 물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일본 내에서는 구매력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많은 가게들이 일본 거주자의 주머니 사정을 고려해 이중가격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닛케이는 "가격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가능하다면 이중가격 표시는 법률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전문가의 말을 전하며 "상품 및 서비스 수요에 따라 가격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체계가 도입되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 호주 시드니 이민 22년차.

 🇰🇷 대한민국 국적유지. 항상 투표합니다 🗳️

댓글 5

댓글쓰기
  • 2024.06.16 00:18
    베스트

    그럼 우리도 일본인들한테는 비싸게 받아야 하지 않을까유??

  • 2024.06.16 02:33
    베스트

    중국인 때문에...

  • 2024.06.16 05:37
    베스트

    왜놈들은 상도의가 없는...

    후쿠시마를 생각해 보심이

    사기꾼 사탄

    이순신장군 어록 왜는 믿을 수 없다.jpeg

    🐕‍🦺🐦ㄲ들🤬🤬🤬🤬!!!!

  • 2024.06.16 06:50  (수정 06.16 06:52)
    베스트

    이게 역설적이게도 그만큼 일본이 많이 경쟁에서 뒤쳐졌다는 얘기도 됨

  • 2024.06.16 08:46
    베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