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4.06.28 06:54  (수정 06.28 09:26)
187
1
https://itssa.co.kr/14938747

 

 

이 글은 한국의 정신건강서비스 정책에 대한 토론이나 분석으로 보입니다. 대화에서는 정신건강 프로젝트의 실행과 동기에 대한 우려를 강조합니다. 몇 가지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신 건강 정책 이니셔티브: 윤 대통령이 이끄는 한국 정부는 2027년까지 100만 명에게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3천억 원의 초기 예산이 제안되었습니다.

회의론과 비판: 그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상담을 제공하는 것의 효과에 대해 회의론이 있습니다. 그 논의는 심리 상담의 성격과 복잡성을 고려할 때, 그 계획이 의미 있는 정신 건강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김건희의 역할: 대화는 김건희가 정신 건강 이니셔티브 내에서 홍보 또는 리더십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그녀의 개인적인 경험을 언급하면서 그녀가 이를 이니셔티브와 관련시키고 지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구현에 대한 우려 비전통적이거나 심지어 사이비 과학적인 방법과 조직의 개입 가능성을 포함하여 정신건강 서비스가 어떻게 전달될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단월드"와 같은 그룹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정당성과 효과에 대한 우려를 암시합니다.

정치적 동기 논의는 이 계획의 이면에 잠재적인 정치적 동기를 암시합니다. 정신 건강 프로젝트가 미래의 정치적 이익을 위한 더 넓은 전략의 일부일 수 있으며, 아마도 김건희의 대통령 선거를 준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예산 배정: 특히 빈곤, 노인 돌봄, 저출산과 같은 다른 시급한 사회 문제들을 고려할 때, 이 계획을 위한 상당한 예산의 배정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정신 건강 프로젝트가 이러한 다른 중요한 영역들로부터 자금을 빼돌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종교적 집단과 유사과학적 집단의 영향: 대화는 정신 건강 프로젝트에서 종교적 집단과 유사과학적 집단의 영향력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합니다. 여기에는 이러한 집단이 주도권을 사용하여 그들의 영향력과 영향력을 확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포함됩니다.

대중의 인식과 미디어: 김건희에 대한 미디어 묘사와 대중의 인식, 그리고 그 계획이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반영합니다. 그것은 그 프로젝트가 그녀를 위한 이미지 구축 캠페인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그 대화는 정신 건강 계획에 비판적이며, 그것의 효과, 실행, 그리고 근본적인 동기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것은 프로젝트가 다른 의제에 공동으로 채택되지 않고 진정으로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세심한 조사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룬정부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정신건강학회 의사들이랑 이야기 해서 추진하려고 하는데
정신과 의사들 거부했고 그래서 의사빼고 단월드, 신천지 이런쪽이랑 접촉해서
작업 진행할거라고 예상하네요

 여기 한번 돈 투입되면 끝도 없이 들어감 정신건강치료
몇개월 걸릴수 있고 정신건강 치료라서 실체가 없음 돈 빼먹기 조음

 

 

 

김건희 여사, '블랙핑크' 로제 등과 '정신건강' 토의

 

 

댓글 1

댓글쓰기
  • 2024.06.28 07:45
    베스트

    너때문에 더 나빠졌다 주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