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3.03.25 12:53
1538
101
https://itssa.co.kr/3256122

댓글 12

댓글쓰기
  • 2023.03.25 13:00
    베스트

    투시투상법으로 도면그리는 역사가

    400년정도되는데

    저걸로 우리나라가 기록 덕후(?)라 하면

    좀 낯 간지럽지..

  • 2023.03.25 13:04
    베스트
    @Fennek 그걸 기록으로 남긴 기록에 집착 하는 면을 이야기 하는 거죠

    조선 왕조실록도 4개의 서고에 보관한 덕에 3개가 불타 없어져도 지금까지 전해져온

    기록에 집착하는 면을 이야기 하는 겁니다

  • 2023.03.25 13:09
    베스트
    @별과바람의노래

    실록은 인정해요.

    성채의 도면 보존은 그리 특이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는 도면 기록이 부족한 편이고
    자랑스러워할 포인트라 보긴 어렵단 얘깁니다.

  • 2023.03.25 13:12
    베스트
    @Fennek 아~ 도면만을 놓고 본다면 그렇긴 한데

    저기에서 좀 생략된게 성체를 만들때 사용한 기중기에 대한 내용 이라던가

    만들며 발생된 일들등등 상세한 기록이 세계문화유산 등제에 많은 도움이 된걸로 압니다.

    그런 세세한 것들을 다 기록으로 남긴 부분이 대단하다는 거죠
  • 2023.03.25 13:35
    베스트
    @별과바람의노래

    이 사례의 국뽕이 불편한 이유가..
    거북선 고증이 너무 중구난방이에요.

    그렇게 자랑스럽다며..
    기록도 없고, 유물도 없고..
    수원성을 제외한 성곽도 자료가 거의 없고..

    동시대 유럽의 기함이나 주요 함정들은
    실물대로 재현이 가능한 경우가 많거든요.

  • 2023.03.25 13:44
    베스트
    @Fennek 아~ 거북선~ ㅜㅜ
  • 2023.03.25 13:45
    베스트
    @Fennek 우리나라가 전란이 너무 많았다는것도 원이 되지않을까요?
  • 2023.03.25 13:52
    베스트
    @별과바람의노래 유실됐다라고 보기엔..
    문자 기록에 비해 다른 형태의 기록이 매우 부실하죠.
    수원 화성의 기록이 국내 한정으로 특출난거지.
    유학 중심, 기술 천시의 특성이 그대로 나타나는 걸로 봅니다.
  • 2023.03.25 13:54
    베스트
    @Fennek 아~ 그런면도 있겠네요

    기술천시

    정약용이라 수원화성 기록이 저렇게 세세하게 남았다는 말도 되겠군요
  • 2023.03.25 13:56
    베스트
    @별과바람의노래 네 ㅇㅇ ㅜㅜ
  • 2023.03.26 17:32
    베스트

    평균적으로 보면 문화재들에 대한 기록문화에 대한 부분.....

    우리나라 그리 대단하지 않습니다

    그냥 수원화성이 튀는거지..... 그것도 그나마 조선 후기에 만든거고

    왕이랑 직접 연관되어 있으니 저렇게 남아있는거지...

     

    기본적으론 복원하고 싶어도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서 제대로 복원 못하는게 우리나라 문화재의 현실....

  • 2023.03.27 01:33
    베스트

    정보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