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이게 다른 친환경 보다 훨씬 효율높게 전기 공급가능하다는데...

 

이게 맞는 얘기일까요?

 

이분야 아시는 분들 도움 부탁드립니다.

모르는게 툭 튀어나오니 반박불가.. ㅠㅠ

 

미국서 첫 소형원자로(SMR) 착공 (voakorea.com)

개털리우스였음. 테장금 준비중.

테트라고날 프로젝트 최고운영책임자(COO)

제 1회 안진걸 반대말 대회 최종 우승~~ (바깥이긴보이~)

댓글 14

댓글쓰기
  • 2024.06.15 15:34  (수정 06.15 15:39)
    베스트

    그리 좋으면 그 형네 집에 얼른 들여 놓으라고 권유하시길.

     

    발전소는 그만 두고 변전소만 집 옆에 있어도 주민들이 발광을 하는 판에

     

    퍽이나 친환경이어서 도심지에 들여 놓을 수 있는 차세대 발전소인지 따져야겠죠.

     

    하여간 2찍들은 답이 없어요.

  • 2024.06.15 15:36
    베스트

    빌게이츠가 프로토타입을 중국에 만들려다가 안됐다는 이야기를 본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ㄷㄷㄷ

  • 테트라고날 작성자
    2024.06.15 15:37
    베스트

    논리적으로 반박할수있게 도와주세요!!

  • 2024.06.15 15:37
    베스트

    효율이야 괜찮은 편이죠.

  • 2024.06.15 15:37
    베스트

    소형 원자로 벌써 있어요

    핵잠수함, 핵 항공모함에

    소혈 원자로 벌써 사용하고 있어요

     

    핵 발전소를 소형화 시키면

    경제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그리고 소형화 시키면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 2024.06.15 15:43  (수정 06.15 15:48)
    베스트

    전에 관련 주제로 전공자(현직 원자력발전소 박사)와 함께 공부한 적이 있는데, 기억에 의존하여 남은거 적어 보자면..

    소형원자로 한기당 약 1만호의 가정집에 전기를 저렴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게 가장 강력한 주장이죠

    문제점이라면, 역시나 전기 공급의 원활화를 위해 동네에 인접해 지어야 한다는 것과 폐연료 때문.

    1.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 (구독형 서비스, 그럼 지역 전기는 강제인가 선택인가, 변압기 운용 주체는?, 연료교체 주기는? 누가 할건가? 등등의 문제가 있음)

    2. 접근성 때문에 주거지 인근에 지어야 함. (안정성과 nimb)

    3. 상업용 소형 원자로라는걸 잊으면 안됨. 폐연료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주장과 다르게 지속적인 폐연료와 방사능 오염 발생함.

    4. 폐연료 보관 할 곳을 또 찾아야 함. 대형 원자력 발전소와 다르게 소량으로 주기-지속적으로 폐연료 발생. (안정성과 nimb)

    5. 사고시 처리는? 등등.

     

    어차피 설득은 상대의 주장을 듣고 이해하고 공부하고 해야 하기에 저정도 학습만 하고 토론을 진행 했지만, 어차피 토론으로 누군가의 생각을 바꿀 수 없다는걸 전제 하셔야 하고, 토론의 승자는 참여 당사자가 아니라 청취자가 결정한다는 걸 잊지 마세요.

    원자력 업계의 주장대로라면 소형 원자로(가격 쌈, 안정성 높음, 사고시 처리 쉬움, 연료교체 쉬움 등등)가 아주 좋은 전력공급 시설인건 맞지만, 위에 언급했듯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고, 지속적 관리에는 관성이 붙기 마련이고, 관성에는 나태함도 포함되요. 소형원자로 관리(점검, 연료교체, 수리 등)가 정수기 관리만큼이나 쉬운게 아니라면 서비스 지연은 필연적이고.. 방치하면 사고를 불러 일으키기 마련이라... 그 부분을 공략 해 보세요.

     

    결국 전기공급을 위해 소형원자로가 선택되지 않는 이유는, 1.경제력 2.안정성 3.심리적거부감 세가지인데, 이걸 설득해야 할 주체는 원자력 발전 반대자가 아니라, 원자력 발전 찬성론자죠 :)

     

    덧, 원자력 업계의 미래 세대 먹거리라고 가열차게 홍보하고 알리는 중이던데 RE100에서 지네 포함 안해줘서 미래 먹거리 막힌 상태.

  • 테트라고날 작성자
    2024.06.15 16:14
    베스트
    @노공2️⃣산

    체계적인 정리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2024.06.15 15:51
    베스트

    미친짓임 소형화 시킨다고 방사능의 위험이 사라지냐 

    폐기물이 사라지냐 그냥 개소리고 환경파괴 못하게 없애가야한게 원자력 발전임

     

  • 2024.06.15 16:12
    베스트

    어차피 실현안댄 기술임

  • 2024.06.15 16:33
    베스트

    걍 그들 집에 먼저 설치하시고, 강남 3구에 설치하라고 하시죠

  • 2024.06.15 17:24
    베스트

    "대한민국은 산유국 입니다"

    기름 팡팡 나오는데 

    굳이 원자로? 풋   하심 될둣

  • 2024.06.15 20:37  (수정 06.15 20:37)
    베스트

    발전소의 효율만을 따져보면

    - 발전:타연료보다 원자력의 효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건 사실이에요 

    -송/배전:보통 지방에 발전소를 세우고 전기 끌어다쓰기 때문에 멀수록 효율이 떨어지는데 도시에 세우면 전기 효율은 높아지겠죠 

    즉, 저분들 말은 일견 맞는 말이에요

     

    근데 그럼 지금까지 왜 원자력발전소를 도심에 안 지었을까 하는거죠 그래서 생각해야하는 게 외부비용이라는 건데요 외부비용은 건설비,운영유지비 등 원자력발전에 쓰이는 직접비용이 아니라 원자력발전으로 파생되는 부수적 비용이에요

    예를 들어 후쿠시마원전폭발사고 생각해보세요 지금까지는 사고가 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계산해 왔기 때문에 원자력이 싸다 경제적이다 효율적이다 온갖 쉴드를 쳤거든요

    근데 2011년 사고 이후 일본이 지금까지 사용한 단순처리비용에 인명사고 및 관리유지비 등에 사용한 비용을 생각하면 원자력이 과연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이 될 수 있을까 생각해봐야하는 거죠 외부비용에는 고향 떠나서 생활하게 된 사람들의 재산손실까지 사실 다 넣어야하는 건데 뭐 그러진 않겠죠 

     

    결론은 다 좋다 효율적인 거 좋은데 도심에서 원자력 사고 나면 어쩔 건데? 한번 해보세요 사고 안 나게 하겠지 하면 지진관리에 철저한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얘기 꺼내보시구요 사람들이 바보여서 도심에 원자력을 안 지은 게 아니거든요 

  • 2024.06.15 21:47
    베스트

    그 2찍들이 마이크로소프트 원전이라고 했나요? 사실 그말 부터 잘 모르고 한듯

    사실 마소랑 상관없고 원전 애호가가된 빌게이츠가 테라파워라고 만들어서 거기서 나트륨이라는 소형모듈원전을 만드는 겁니다

    경제성은 빌형이 주장하는거고

    원전의 경제성은 원래 크면클수록 경재적이라는게 통념이었는데

    이게 부작용도있고 미국은 쓰리마일사건도 있고 해서 부정적인 영향이 있어서 소형화를 새로운 트랜드로 가져오는 듯합니다

     

    그리고 경제성 효율 뭐 이런걸 주장하는데  신기술이라 실증도 아직없고

    뉴스케일파워사에서 유타주에서 하려던 소형모듈원전사업도 결국 태양광보다 경제성이 낮아 무산되기도했어요

     

    빌형이 하는 나트륨이 빌형 돈도 들어가고 정부돈도 들어가고 해서 일종에 실증형으로 해보는거라

    뭐가 좋다고 말하긴 어렵죠 

     

    그 2찍들이 마소이야기 또하면  마소는 내년 부터 100% 재생에너지로만  운영한다는 선언했다고 알려주셔요 ㅋㅋㅋ

  • 테트라고날 작성자
    2024.06.16 17:50
    베스트
    @동녁땅

    앗!! 맛네유~!! 깜빡 속았네유~ 감사합니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