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4.06.14 11:40
600
54
https://itssa.co.kr/14638789

 

오늘 느끼셨죠?

그러니까 정청래 법사위원장 한다고 할때

법쪽 출신 아닌데 왜 법사위원장 하냐고 했던 분들 반성합시다.

어차피 법조 관련은 관련 지식이 풍부한 보좌진들이 다 도와줍니다.

상임위원과 위원장은 그 쪽에 대한 하려는 의지가 중요한겁니다.

댓글 7

댓글쓰기
  • 2024.06.14 11:42  (수정 06.14 11:42)
    베스트

    맞음.윤석열도 법조계이니 ㅋ

  • 2024.06.14 11:55
    베스트

    반성할 필요까지 있는 지는 모르겠음

  • 2024.06.14 12:10
    베스트

    정청래가 법사위원 반대한걸 반성해야될 필요는 없을 듯 한데요.

    후보군중에 몇명은 정청래 대신 왔어도 잘 했을거라 생각들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정청래가 법사위장 해도 잘할거라 생각은 했지만요.

    이언주가 저자리에 갔어도 잘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 2024.06.14 12:22
    베스트

    맞음

    국문과 출신이 글 제일 못슴

  • 2024.06.14 13:08
    베스트

    검사10년에 법알못이라카던데예 ㅋ

  • 2024.06.14 13:14  (수정 06.14 13:14)
    베스트

    박지원 옹도 법사위 첫 회의에서

    본인도 비법조인이지만 어느덧 3번째 법사위 활동이라고 함

     

  • 2024.06.14 15:51
    베스트

    너무 당연한걸 우린 너무 착각에 빠져 살음. 

    변호사만 해도 금융 경영 이런식으로 자기들만의 

    확실한 1티어들이 있고 나머진 우리들 보다는 좀 

    높은 법상식을 가진것뿐인데 검사 판사는 다 아는것 

    같이 생각하고 살음. 이재명대표도 승소율이 높고 

    지금처럼 법을 어떻게 써먹는지 잘 아는건 변호사가 

    되고 나서도 최신 법리에 대학 책이 나오면 무조건 다 

    사서 읽었고 거기서 얻은 지식으로 재판에 써먹었음. 

    이 정도 노력은 하는 변호사 검사 판사가 되야 그나마 

    법잘알 소리 들어야 하는데 그냥 일에 치여서 과거에 

    했던 공부 기억안나면 그때 가서야 책 한 번 찾아보는 

    사람들이 태반일텐데 이런 사람들이 떠드는 법상식을 

    우린 무조건 맞다고 생각하면서 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