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Fry
2024.06.25 09:00
203
10
https://itssa.co.kr/14873801

미국 시골에서 전원생활 하는 아잽니다. 학생때 유학와서 한국 실정을 잘 모릅니다. 얼마전에 부모님과 대화를 하던 중에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저희 부모님은 그냥 수도권에서 아파는 한채 살고 계시는데요, 재산세 에대해서 이야기 하던중 일년에 50만원 정도만 내신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미국에 살면서 엄청나게 많은 세금을 내거든요..작년에 $15000 가깝게 냈습니다. 한국 돈으로 일년에 이천만원 정도 낸 셈이죠. 제가 사는곳 카운티 (시 보다 큰 개념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한국으로 치자면 도 정도가 되겠네요)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목록을 다 뽑아봤습니다.

 

IMG_9958.jpeg

 

보니까 거진 대부분이 공교육 비용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저는 미국에서 아이들 키우면서 애들 학원같은거 안보냅니다. 학원이라는 개념에 없기도 하고 나라에서 시키는 교육이면 충분하다는 생각이 자리잡아 아무도 학원에 안보내거든요. 제 형이나 누나들이 조카들 학원비 빡세다고 할때마다 ㅋㅋ 나는 그런거 안보내는데 좋아했었는데 실상은 한국에서 학원 보내는 비용 = 미국에서 공교육 비용 으로 내고 있었네요 ㅠㅠ

 

그러다가 생각해 뵜어요. 한국에서도 나라에서 사립학교에서나 제공할만한 양질의 공교육을 제공할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과연 우리나라 엄마아빠들이 굳이 사립 학교를 고집 할까요? 사립 교육의 비용을 저축하고 국공립 교육을 받음으로써 얻을수 있는 기회비용이 더 높다면 사교육 열풍이 사그러듬과 동시에 경쟁 과열 사회로 가는 고리를 끊을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공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세금을 더 걷어야 겠죠. 아이가 있든 없든 그 지역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걷는 재산세를 국공립 학교에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그리고 좋은 선생님들 교육 시키고 급여 경쟁력을 높혀서 “좋은” 선생님들이 국공립 학교에 취직을 선호하도록 만드는게 중요하겠죠. 이런것들이 쉽지 않네요. 하지만 사회가 이런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우리나라 경쟁력도 출산율도 올라가지 않을까 싶어서 끄적여 봤습니다

댓글 14

댓글쓰기
  • Fry 작성자
    2024.06.25 09:01
    베스트

    다시보니까 $16000 가깝게 냈네요. 내 돈 ㅠㅠ

  • 2024.06.25 09:04
    베스트

    좋은글 감사합니다.

  • Fry 작성자
    2024.06.25 09:05
    베스트
    @세력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2024.06.25 09:10
    베스트

    자산 불평등이 너무 심해요.

    그에 비하면 소득 불평등은 장난이고..

    심지어 그 자산이 소득으로 누적된 것도 아님.

  • Fry 작성자
    2024.06.25 09:26
    베스트
    @Fennek

    그러네요 소득 격차에서 오는 환경도 고려를 해야...

  • 2024.06.25 09:27
    베스트
    @Fry

    아니에요. 환경이 다른 거 보다

    원글에 십분 동의하는 겁니다.

  • 2024.06.25 09:13  (수정 06.25 09:16)
    베스트

    한국은 사교육으로 다  배우고 온다는 가정하에 수업이 진행 되고  선행되지 않으면 수업 쫓아가기도 힘듭니다.

    우리나라 공교육은 정말 문제가 많은게 사실 입니다.

    저희집 애도 고딩때 과학 시험 치고 과학 학원 다니는 친구가 선생님이 알려 준거 다 나왔다고 하니 사교육에 다들 목숨을 걸수 밖에 없습니다. 공교육 생각하면 갑갑합니다. 결국 좋은 대학 가는건 돈의 힘으로 결정 되는 곳이 한국입니다.

     

     

  • 2024.06.25 09:28
    베스트
    @세력입니다

    사실 공교육에 돈이 모자라다는 느낌은 아니죠.

  • 2024.06.25 09:30
    베스트

    좋은일자리가 부족하다. = 상위 10%에 들어야 한다. 

    상위 10%에 들기 위해 상위 10%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 

    상위 10%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사교육에 돈을 써야 한다. 

    사교육이 몰려 있는 곳의 집가격이 올라간다. 

     

    이게 돌고 도는게 대한민국의 문제점이고  어느 한곳을 끊어내기 위해서 다른곳을 건드려야 하고

    결국 아무도 풀지 못하는 얽킨 실타래 처럼 어려운 문제 입니다. 

     

    저는 한달에 아이둘 학비로 300 만원 이상 400미만으로 지불 합니다.

    그게 아이가 영유 다닐때 부터니까 10년이 넘었습니다.  벌써 몇억 쓴거죠. 

    그런 나라 입니다. . 사교육 시장 자체가 하나의 몇십조 짜리 시장이라 단번에 없앨 수도 없는 노릇이죠. 

     

     

  • Fry 작성자
    2024.06.25 09:32
    베스트
    @니르바나

    그러게요 이해관계가 너무 얽혀 있어서 한번에 풀어내지는 못해도 그런방향으로 사회가 갔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 2024.06.25 09:58
    베스트
    @니르바나

    오~ 님아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다 써주셨네요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는  상태라는점. 님이 쓴 글이 정확합니다.

  • 2024.06.25 09:47
    베스트

    우리나라에서 공교육을 강화하지 않는 건

    공교육에선 기득권이 가지고 있는 부와 지위로 얻을 수 있는

    어드밴티지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죠.

    전 사교육은 반칙이리고 생각합니다.

  • 2024.06.25 10:31
    베스트
    @김치레시피

    빙고.맞습니다.

  • 2024.06.25 10:57
    베스트

    공교육이 힘을 얻지 못하는건 입시때문인데

    지금 이대로 대학입학이 운영 되는한

    방법이 없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