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4.06.24 17:26
214
14
https://itssa.co.kr/14860951

총균쇠라는 책을 알게된건 직장생활을 막 시작했을 때 선배한테 추천받았습니다

요즘에는 모르겠지만 제가 직장을 다닐 때는 사실상 신입직원들은 6개월에서 1년정도는 가르치는 기간이었거든요

가르치기도하고 일을 어느정도하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아보는 기간이었죠

 

그 당시 대학을 막 졸업한 신입에게 관리자들이 기대하는건 통통 튀는 아이디어였습니다

당시에 브레인스토밍이니 하는 회의방법이 유행하기도해서 신입들의 황당한 제안이 계속 이어지고 그걸 껄껄하고 들으면서 식은땀 흘리는 관리자들이 많았죠

 

아마 그래서 당시 입사한 신입들 전부에게 멘토가 추천한 책을 읽고 그 책을 통해서 어떤 걸 알 수 있었고 그게 직장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발표하라는 업무지시가 내려왔어요 사실 신입들은 뭐 책 읽고 서평같은거 쓰면 되는건가 라고 고민하지 않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런 과제는 중간 직책자의 업무역량 평가도 같이 하려고 한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책을 멘토가 골라줬어야했거든요

 

당시 제 멘토를 하던 박과장님은 엄청난 고민에 빠집니다 그리고 본인이 이런저런 책을 읽어보기도 하고 주위에 조언을 구하기도 하다가 

너무나 미안한 얼굴로 저에게 들이밀었던 책이 바로 저 총.균.쇠 입니다

 

내용 자체가 어렵다기보다는 분량이 너무 많았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술술 읽히는 책도 아니고요 딱딱하기도하고 제가 읽어봤을 때는 그렇게 친절한 서술도 아니었는데요 물론 책 자체가 재미있고 잘 써졌다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기는 합니다

 

갑자기 10년도 전 이야기를 하며 총.균.쇠를 떠드느냐면

 

아마 저는 그 당시에 그런 이벤트가 없었다면 총.균.쇠를 읽어 볼 엄두도 나지 않았을거고 그렇다면 총.균.쇠를 읽음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잃어버렸을겁니다

얼마전에 유튜브로 총균쇠를 1시간 가량 분량으로 요약해서 설명해주는 영상도 몇개가 보이더라고요

솔직히 책을 읽는건 쉽지 않을 수도 있으니 출퇴근 시간에 시간이 되신느 분들은 영상이라도 한번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왜 총균쇠를 알아야하냐? 라고 물으실텐데

저는 그 물음에 왜 책을 읽어야하는가로 답하고 싶습니다

 

총균쇠를 예로 들어 말하자면 총균쇠에 담긴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아닙니다

총균쇠에 담긴 지식들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거든요 유라시아 대륙이 동서로 길게 뻗어있어 기후대가 비슷하여 작물화와 가축화가 쉽기에 문명이 빨리 발생하였다 

이게 뭐 대단한 지식이고 이게 사회생활에 또는 어떤 도움이되겠습니까

 

저한테 총균쇠를 읽어야한다며 미안하다고 얘기하던 선배가 했던 말을 대충 생각나는대로 이야기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왜 책을 읽어야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총균쇠를 추천하는 이유는 책이 지루하고 길지만 어떤 결과를 정해놓고 앞뒤로 끼워맞추는 방식이 아니고 하나하나의 사실을 가지고 추론하여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책이기에 추천하는거다. 책에서 지식을 얻으려고 하지말아라. 그 지식을 언제까지 외우고 있을수도 없고 쓸모있는 지식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도 쉽지 않고 같은 지식이더라도 어떨때는 쓸모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전혀 쓸모없는 지식이 되기도한다. 어떤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면 그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서적을 찾아보거나 인터넷에서 찾아보면된다."

 

"니가 총균쇠를 읽음으로서 얻어가야할건 결과를 만들기위해 추론해나가는 과정이며 그 과정에서 어느순간 머리에 빡하고 꽂히는 인사이트를 갖는 연습에 대한 것이다. 총균쇠 책에서 이어지는 흐름을 최대한 이해하고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고 여러 자료와 데이터 속에서 어떤 특정한 결과를 너만이 가지고 있는 인사이트로 남들보다 먼저 발견하고 그 인사이트가 사실이라는 걸 논리적으로 증명해나가는 과정을 배우거나 연습해나갈 수 있었으면 한다"

 

어떤 단편적인 지식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책을 읽음으로써 어떤 명제에 다다라는 과정을 추리하는 인사이트가 바로 독서의 이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저는 총균쇠를 다 읽지 못했고 요약본만 읽고 다 읽은척하면서 위기를 잘 넘겼습니다

냐옹

댓글 13

댓글쓰기
  • 2024.06.24 17:26
    베스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니 왜 웃기지 웃으면 안될거 같은데 ㅠ ㅎㅎㅎㅎ

  • 2024.06.24 17:27
    베스트
    @로그아웃

    긍정적인 결과이시니 좋은겁니다 ㅋ

  • 2024.06.24 17:27
    베스트

    저도 궁금했던 책인데

    읽어봐야겠습니당😆

  • 2024.06.24 17:28
    베스트
    @trooper

    책을 다 읽으시면 좀 알려주세요

     

    저도 읽다말았거든요

  • 2024.06.24 17:31
    베스트

    저는 설민석이 요약해주는 걸 몇번 돌려봤어요 물론 책도 펼쳐는 보았어요 ㅠ ㅠ 여러번 펼쳐는 봤는데...

  • 2024.06.24 17:33
    베스트
    @F킬라칙칙

    저도 30퍼정도 읽고 못버티고 요약본으로 읽었습니다 ㅋㅋ

  • 2024.06.24 17:42
    베스트

    어후 엄두가 안나던 책...

  • 2024.06.24 18:13
    베스트
    @마왕

    ㅋ 저도요

  • 2024.06.24 17:48
    베스트

    이거 엄청 옛날에 읽었는데 무슨 인생 필독서 이런거 아니에요

    서로 무시하지말고 잘 지내자 이건데요...

     

  • 2024.06.24 18:13
    베스트
    @덱스터모건

    필독서 느낌은 아닌듯 

     

    근데 추론해나가는 과정을 경험하는건 도움이 되더라고요

  • 2024.06.24 18:15
    베스트
    @덱스터모건

    그당시 신운에서 몇년동안

    서울대 도서관 대출 1워 였음

     

    영화 '아포칼립소' 마지막 장면에서~

    23:25

    https://youtu.be/af7ADuGn9y8?si=l3p2GFDsdSyWzJQ4

     

  • 2024.06.24 18:21
    베스트
    @엘지전자

    오 영화추천 감사합니다 재밌겠다

  • 2024.06.24 20:55
    베스트

    마지막 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