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4.05.23 18:21  (수정 05.23 18:22)
94
7
https://itssa.co.kr/14152033

 

행정 공무원, 법조인, 의사 등의 시험을 보고 통과한 사람들에게

똑똑하다라는 평가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주로 공부를 해서 시험 보는... 말그대로 암기력이 좋은 사람들을 똑똑하다라고 평가하는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 사람이 들어와서 같이 업무를 하거나 협업을 해야하거나, 일을 지시할때...

이사람이 똑똑한가 아닌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고,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사람을 접할때 

대화를 하면서도 학교 졸업하고 나와서 공부를 하면서 살았냐 아니냐에 따라

전공이 아니어서 알아듣는 영역이 다르지만 그것마져 알아들을때

또는 전공을 하고도 못알아먹을때

똑똑하냐 아니냐의 평가가 달라지죠.

 

이번 정권 들어와서 확실히 다수 국민들이 알게된건

서울대 법대 나온다고 똑똑하다고 할 수 없구나.

사법시험 통과해서 검사, 판사, 변호사 됐다고 다 똑똑하다고 할 수 없구나.

의사라고 해서 똑똑하다고 할 수 없구나.

직업이 사 자로 끝나는 거라고 해서 정의, 법을 따르는 인간이 아니구나 라는 것을 처절하게 느꼈다는거라고 봅니다.

 

초졸, 중졸, 고졸, 지방대 졸업 보다 못한게

서울대 법대일수도 있구나 라는것을 알려준 정권.

댓글 5

댓글쓰기
  • 2024.05.23 18:26
    베스트

    똑똑과 현명의 차이.....

     

    똑똑하기 보다 현명해야함..

  • 2024.05.23 18:30
    베스트

    지식과 지혜의 차이ᆢ

  • 2024.05.23 18:36
    베스트

    정의하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잘 외는건 똑똑하기보다 성실한 쪽에 가깝죠

     

     한국의 수험은 비판적 사고보다는 암기에 크게 좌우되므로

    지능보다는 성실함(꾸준함, 자의든 타의든간에)의 비중이 훨씬 크기에 단순히 시험 잘봤다고 똑똑하다고 생각하면 오류가 많은거고요

     

    물론 학력이 높고 공부를 잘한 사람일 수록 지능이 높을 확률이 높고 따라서 똑똑할 확률도 높긴하지만 어디까지나 확률의 문제라서요

  • 2024.05.23 18:37
    베스트

    역대 대통령중 교육좀 받았다 싶은 사람들은 이승만, 최규하, 김영삼, 이명박, 윤석열 등이 있는데 결과는 다들 아시죠

    심지어 전두환, 노태우도 육사 출신이긴 하지만 미국 유학도 갔다오고 그 당시에는 엘리트 였다고 볼수도

     

  • 2024.05.23 18:54
    베스트

    암기력이 아니라 4지선다, 5지선다에 강한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