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4.04.29 10:24  (수정 04.29 10:26)
79
1
https://itssa.co.kr/13582837

그러나 선거 이후에도 민주당이 대통령과 싸움만 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영수회담을 해야 합니다. 국정에 협력하는 것이 옳습니다. 민생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게 국민을 위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영수회담은 민심의 격렬한 분출을 여야의 정치 지도자들이 담아 안아 정국을 안정시킬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안입니다.

 

역사가 그렇습니다. 유신 독재가 깊어가던 1975년 5월 박정희 대통령과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영수회담을 했습니다.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김영삼 총재에게 박정희 대통령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김 총재, 나 욕심 없습니다. 집사람은 공산당 총 맞아 죽고, 이런 절간 같은 데서 오래 할 생각 없습니다.

민주주의 하겠습니다. 그러니 조금만 시간을 주십시오.”

 

박정희 대통령은 야당 의원 석방, 동아일보 광고 정상화 등 김영삼 총재의 몇 가지 요구를 받아들였습니다.

민주주의를 하겠다는 약속은 결국 지키지 않았지만, 영수회담으로 고비를 넘긴 것입니다.

 

1987년 6월 항쟁 와중인 6월24일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통일민주당 총재의 영수회담이 열렸습니다.

김영삼 총재는 4·13 호헌 조치 철폐와 대통령직선제 수용을 요구했습니다.

전두환 대통령은 개헌 논의를 재개하겠다고만 했습니다. 김영삼 총재는 영수회담 결렬을 선언했습니다.

5일 뒤인 6월29일 노태우 민정당 대표의 ‘6·29 선언’이 나왔습니다.

결과적으로 김영삼 총재의 요구를 전두환 대통령이 받아들인 것입니다.

 

1996년 12월 김영삼 정부는 ‘노동법 날치기’로 정권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1997년 1월21일 청와대에서 김영삼 대통령, 이홍구 신한국당 대표,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 김종필 자민련 총재가 여야 영수회담을 열었습니다.

그 뒤 여야는 2~3월 임시국회에서 야당의 요구대로 노동관계법을 재개정했습니다.

영수회담으로 파국을 막은 것입니다.

 

이처럼 영수회담은 정권과 국민, 여당과 야당의 정면충돌 상황에서 정국을 수습하는 매우 유효한 수단으로 활용됐습니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들의 대화 창구가 상설화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1988년 13대 총선으로 조성된 여소야대 정국에서 노태우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은 ‘5자 회담’에서 모든 현안을 다뤘습니다.

당시 평민당 총재였던 김대중 대통령은 뒷날 자서전에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여소야대 정국에서는 타협이 최선이었다. 타협이란 결국 절충과 양보였으니 독주와 독선은 설 자리가 없었다.”

“여소야대 정국이라 해서 야당이 독주하는 것은 아니다. 야당은 철저히 국민의 뜻을 헤아려야 했다. 국정의 책임을 공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치 김대중 대통령이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와 윤 대통령과 이 대표에게 말하는 것 같습니다.

김대중 대통령 자신도 집권 뒤 여소야대 환경에서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와 일곱 차례 영수회담을 했습니다. ‘총재 회담’이라고도 했습니다.

아예 2개월에 한번씩 정례화하기로 합의가 이뤄지기도 했지만, 2001년 1월이 마지막 회담이었습니다.

노태우 대통령의 ‘5자 회담’과 김대중 대통령의 일곱 차례 영수회담은 여소야대 정국에서 협치의 모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심판받고도 ‘야당 탓’ 할 건가

문재인 대통령도 야당과 매우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대화했습니다.

취임 직후부터 여야 대표나 원내대표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정책 협의를 하고 외교 성과를 설명했습니다.

남북정상회담, 일본의 수출 규제, 코로나 등 현안이 있을 때마다 여야 대표나 원내대표들을 만났습니다.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의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를 만들어 성과를 내기도 했지만,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회의가 이어지지는 못했습니다.

 

이처럼 역대 대통령들은 예외 없이 영수회담이나 여야 대표 회담을 자주 열었습니다.

야당 대표를 국정의 동반자로 예우했습니다. 취임 이후 야당 대표와 단 한 차례도 회담하지 않은 윤 대통령이 비정상인 것입니다.

 

마무리하겠습니다. 윤 대통령에게 4·10 22대 총선 이전과 이후는 전혀 다른 정치 환경입니다.

총선 이전에는 국정 무능과 난맥을 ‘야당 탓’으로 돌릴 수 있었습니다.

총선 이후에는 ‘야당 탓’이 불가능합니다. 국민이 야당이 아니라 정권을 심판했기 때문입니다. 영수회담 이후 윤 대통령의 선택지는 세 가지입니다.

 

첫째, 식물 대통령으로 남은 임기를 버티는 길입니다. 국정 마비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입게 됩니다.

 

둘째, 국회에 의해 탄핵 소추되고, 헌법재판소에 의해 탄핵당하는 길입니다. 윤 대통령 자신이나 국민 모두에게 불행한 일입니다.

 

셋째,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정하고 협치를 제도화하는 길입니다. 대연정이든, 동거 정부든, 거국 내각이든 이름은 뭐라고 붙여도 좋습니다.

이 길이 윤 대통령이나 국민 모두에게 최선의 시나리오입니다.

 

여기에 임기 1년을 단축해 4년 중임제를 도입하고 대통령 권력을 분산하는 개헌을 주도하면 윤 대통령은 7공화국을 활짝 연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치부 선임기자 shy99@hani.co.kr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138385.html

정치는 항상 작은 둑을 허용하면서 이상한 방향으로 나가게 됩니다 나는 잇싸가 네덜란드 둑을 막는 소년이라고 생각합니다 

The Little Dutch Boy Dam About To Burst GIF - The Little Dutch Boy Dam About To Burst Dam Burst GIFs

댓글 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