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글
인기글
정치인기글
유머게시판
자유게시판
정치/시사
라이프
19이상만
EastSideStory
2022.09.14 16:51
99
7
https://itssa.co.kr/378996

핵융합

졸라 첨단 기술같은 느낌이다.

맞다.

근데 불가능한 기술이라고 본다.

아이언맨이 날아다닐 정도의 기술이 아니면

쉽지 않다고 본다.

 

허구헌날 언론서 떠드는데 왜 쉽지 않을까?

원자력 발전과 핵융합 빌전은 까고보면 다 화력발전이다.

열을 발생시켜서 물을 끓이고 그 수증기로 터빈을 돌린다.

물을 뭘로 끓이느냐의 문제이다.

 

핵융합을 하려면 고온과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그릇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그릇은 지구상에 없다.

그래서 자기장으로 이를 대신한다.

졸라 졸라 졸라 졸라 쎈 자기장.

이를 토까막이라 부른다.

이걸 만들려면 엄청난 전기가 필요하다.

난 우선 치명적인 문제가 생긴다고 본다.

100 메가의 전기를 만들기 위해

90 메가의 전기를 써버린다면

이는 필요없는 고급기술이다.

10억분의 1초까지 잴 수 있는  1억짜리 스톱워치의 느낌?

태양광으로 1억이면 만들 전기를 

100 억들여 만들어 낸다면 뭐하러 쓰나?

그래서 핵융합 발전은 필요없다고 본다.

 

다른 이유도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삼중수소이다. 

핵융합에는 삼중수소가 반드시 필요하다.

삼중수소는  금보다 1천배 정도 비싸다.

1g에 3천만원 정도 한다.

지구상에 별로 없다.

가까운 곳에 많다.

달이다.

거기서 퍼와야 한다.

기술이 발달하면 퍼오면 되겠지.

 

마지막 이유는 기술의 발전이다.

토까막을 유지하는 기술이 아직 5분도 안된다.

 

이것도 언젠가는 길어지겠지.

아이언맨이 날아다닐 때 쯤이면 되려나?

 

결론적으로 수지타산이 안맞는다.

언론에서 인공태양이 어쩌고 지랄하지만

결국 원자력 업계가 연구비를 타내려는 쑈라고 본다.

1정당 2,3백 만원 하는 기존 소총이 있는데

1정당 3억하는 레이져 소총이 있다면

이걸로 무장하는 군대가 있을까?

그런데 무식한 국민은 레이져 소총으로 무장하자고 하겠지.

 

정부와 대통령의 수준은 그 나라 국민의 수준이다.

그래서 국민이 똑똑해져야 한다.

                     ☆ 사람의 댓글에만 답변합니다. ☆

                       현실에서는 쪽도 못쓰는 새끼가...

댓글 8

댓글쓰기
  • 2022.09.14 17:17
    베스트

    안타깝습니다. 세계 여러 국가들이 바보라서 ITER 같은 국제 핵융합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할까요? 핵융합 기술은 조금씩 하지만 꾸준히 발전해왔습니다. 핵융합과 같은 거대과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필요한데 단기적 시각이 아쉽습니다.

  • 수색저격수 작성자
    2022.09.14 17:19
    베스트
    @에스프리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수지타산이 안맞으면 사장됩니다. 저는 수지타산이 안맞는다고 봅니다.

  • 2022.09.14 17:32
    베스트
    @수색저격수

    태양광이나 풍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환경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고 발전용량 대비 면적을 너무 많이 잡아먹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방법이 필요하고, 그것이 핵융합 발전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상용화되기까지 불가피하게 필요한 게 원자력 발전이구요. 원자력 발전 포기했던 독일은 러시아가 가스를 끊자 전전긍긍하지만, 원자력 발전을 포기하지 않았던 프랑스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솔직히 태양광이나 풍력이 전력 수요를 대체할 수 있었거나, 핵융합이 빠르게 상용화되었으면 이렇게 골머리 앓을 일도 없었을 겁니다. 원자력 발전을 이용하되 내부 비리를 잡아내고 안전성을 높이는 게 현실적입니다.

    또한 수지타산 생각하면 누리호도 발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기술을 확보하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단기적인 수지타산만 따지다가 우리나라 연구개발사업이 누더기가 되었습니다.

    추가로 삼중수소는 CANDU형 원자로 (우리나라의 경우 월성 원전)에서 감속재인 중수가 중성자를 흡수해 삼중수소를 생성된 것을 분리해서 산업적으로 이용합니다. 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월성원전에서 보관하고 있는 삼중수소를 상업화하는 절차에 착수하기도 했습니다.

  • 수색저격수 작성자
    2022.09.14 17:47
    베스트
    @에스프리 긍정적 이시네요.
    님이랑 내가 죽기전까지
    핵융합이 될까요?
  • 2022.09.14 17:54
    베스트
    @수색저격수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초전도와 플라즈마 기술의 발전으로 '2050년대' 운운하던 때와 달리 2020년대에 들어 5~10년 내 상용화 소리가 종종 나오고 있습니다. 그전까지 태양광, 풍력과 더불어 원자력이 전력 수요를 감당해줘야겠지요. 과학자로서 과학기술의 가능성을 믿습니다.
  • 수색저격수 작성자
    2022.09.14 17:57
    베스트
    @에스프리 과학자세요?
  • 2022.09.14 18:15
    베스트
    @수색저격수 네, 맞습니다.
  • 2022.09.15 07:48
    베스트

    그는 과학자였다.